앵커
해킹 사태 이후 유심을 바꾼 SK텔레콤 이용자는 약 40만 명입니다.
전체 SKT 회선 이용자 2천5백만 명의 2%도 안 되죠.
시작부터 지금까지 독주했던 업계 1위 이통사의 미흡한 대처가 불편과 불안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윤미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리포트
해킹 발생 일주일 만에 대국민 사과를 결정한 SK텔레콤.
대표까지 직접 나서놓곤, 정작 해킹 피해에 대해선 구체적인 설명을 피했습니다.
[유영상/SK텔레콤 대표]
"궁금증과 불안을 모두 해소해 드리고 싶지만 사고의 원인과 규모 등에 대한 정부 조사가 이제 막 시작된 상황입니다."
뭐가 얼마나 유출됐는지 불분명한 상황은 이용자들의 불안을 자극했습니다.
[유튜버(음성변조)]
"차원이 다른, 이것만큼 심각한 일이 있었나 할 정도로…"
은행, 증권, 가상자산, 보험 정보까지 들어있는 스마트폰이 복제될 수 있다는 걱정이 커져 악성파일을 설치했다 금융피해를 본 스미싱을 스마트폰 복제로 오해하게 했습니다.
고객 대응도 소극적이었습니다.
누가 피해자인지 모른다는 이유로 일주일 가까이 가입자들에게 해킹 피해를 따로 전하지 않았습니다.
[홍승태/SK텔레콤 고객가치혁신실장]
"고객들에게 문자를 한꺼번에 보냈을 때 본인이 피해자라고 어떤 오해를 하실 수 있는 그런 사태가 있었기 때문에…"
유심이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무상 교체를 발표해 사람들을 새벽부터 줄 세우는가 하면 접속자가 많아질 걸 예상 못 했는지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전화 예약은 먹통이었습니다.
유심이 없으니 대안으로 유심 보호 서비스라도 가입하라면서, 시스템 불안정 우려가 있다며 문자 안내는 순차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배병찬/SK텔레콤 MNO AT본부장]
"저희가 지금 현재 순차적으로 문자 발송의 용량을 증대시키고 있고요."
애초에 사안 자체를 축소하려 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4월 20일 SK텔레콤은 해킹 사실을 신고하면서 정부가 제안한 기술지원과 피해지원, 후속조치지원 등 대다수 지원을 거부했습니다.
이때는 이미 유출된 정보량이 최대 9.7기가바이트에 이를 수 있다고 SK텔레콤이 알고 있던 시점이었습니다.
[유상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오늘,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늦게 신고한 점은 그거는 거기에 합당한 처벌을 받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이버 보안 중요성이 커지면서 다른 통신사들이 정보보호 투자액을 늘리는 사이 SK텔레콤은 등락을 거듭한 점도 이번에 확인됐습니다.
'사고는 통신사가 쳤는데 왜 피해는 국민이 보느냐'는 질문에 '명확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요구까지.
SK텔레콤이 설명해야 할 게 많습니다.
MBC뉴스 김윤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