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구티비 가족 텔레그램
클릭시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제휴문의 영상문의 환영합니다.
이벤트1. 베팅후기 등록하고 매일 최대 2000포인트 적립 / 이벤트2. 보증업체 가입 시 포인트 5000 꽁머니 즉시 지급 / 이벤트3. 신규 회원 10,000 포인트 바로 지급
레벨순위
  • 마구티비11,750P
  • MLB귀신30,980P
  • 형도번다33,620P
  • 알아서할게21,650P
  • 요시25,850P
  • 님들아뽀25,790P
  • 흑채얼짱21,520P
  • 또라히잉20,290P
  • 얼씨구나19,450P
  • 내꺼커19,050P
마구티비 가족 텔레그램
클릭시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제휴문의 영상문의 환영합니다.
유머게시판 게시물 보기
[음식] 아침 공복에 '물' 한 잔... 건강 효능들과 주의할 점
2025-06-21
4 hit
호날두감자탕


걸쭉한 혈액을 묽게, 배변 활동도 도와

아침 공복 상태에서 물을 한 잔 마시는 것은 여러 면에서 좋다. 강북연세병원 내과 윤태욱 원장은

"기상 직후 마시는 물은 몸의 윤활유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자는 동안 땀·호흡으로 인해 몸속

수분이 약 500 mL 빠지는데, 이 탓에 점도가 높아진 혈액을 물 한 잔이 묽게 만들어준다는 것이다.

이는 아침에 잘 발생하는 심근경색·뇌경색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낸다. 노폐물 배출에도 좋다.

혈액과 림프액의 양을 늘려 몸속 노폐물을 원활히 흘려보내고, 장 운동을 촉진시켜 배변을 돕는다.

윤태욱 원장은 "만성 탈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며 "자는 동안 수분 공급이 안 되면서 탈수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일어나서 물을 마시면 탈수를 막음과 동시에 신진대사·혈액 순환을 촉진시킬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지근한 물로, 과하지 않게

물은 체온보다 약간 낮은 30도 전후의 미지근한 것이 좋다. 찬물은 자율신경계를 과도하게

자극할 수 있다. 특히 고령자는 기초 대사량이 떨어져 있는 상태인데, 이때 찬 물을 마시면

체온이 더 감소하고 위장 혈류량이 떨어지기도 한다. 또,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체내 전해질

균형이 깨지면서 뇌부종·두통·구역질 등의 저나트륨혈증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몸에

부담이 가지 않을 정도로 한두 잔만 마시길 권한다. 만약 만성질환이 있다면 조심해야 한다.

윤 원장은 "투석을 받는 말기 신부전 환자나 말기 심부전 환자라면 체내 수분이 저류하면서 부종·호흡곤란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당뇨병 환자 역시 물을 많이 마시면 포만감 때문에 식사량이 줄어 저혈당

등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역류성식도염 환자는 위식도 연결부가 자주 열리면서 증상이

악화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만성질환자는 주치의와 상의해 물 섭취량을 정해야 한다. 물은 벌컥벌컥

마시기보다는 천천히 마시는 것이 좋다. 빨리 마시면 뇌 혈류량이 갑자기 증가해 부담이 가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