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또 인사 논란이다. 신세계 야구단 SSG 랜더스가 또다시 인사 문제로 부정적인 여론에 휩싸였다.
SSG 랜더스는 최근 내부 인사를 단행했다. 2023년 단장을 맡았었던 김성용 전 단장이 스카우트팀장으로 전격 복귀했다.
김성용 스카우트팀장은 지난 1일부터 공식적으로 업무를 시작했다. 상당히 파격적인 인사다. 전 단장이 2년만에 다시 팀에 돌아와, 그것도 프런트 일원인 스카우트팀장으로 보직을 맡는 것은 타팀에서도 사례를 찾기 어렵다.
특히나 파격 인사인 이유는 단장 시절 구단을 떠나게 된 결정적 사유 때문이다. 김성용 스카우트팀장은 단장 시절, 새 코칭스태프 선임과 김강민의 은퇴 논의 중 2차 드래프트 이적 등 여러 잡음으로 인해 사실상 경질됐다.
그중에서도 김강민의 이적은 엄청난 후폭풍을 몰고 왔다. 구단과 은퇴 시점에 대해 논의 중이던 김강민이 정확히 대화가 마무리되지 못한 상황에서, 2차 드래프트 보호 선수 명단에서 제외되며 한화 이글스의 지명을 받는 사태가 벌어졌다. 김강민은 고민 끝에 한화에서 현역 생활을 이어가는 것으로 결정했지만, SSG 팬들이 구단을 향해 엄청난 비난 폭격을 쏟아냈다. 당시 단장이 구단을 떠난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이후 야인으로 돌아갔던 김성용 전 단장의 랜더스 복귀설이 몇달 전부터 야구계에서 흘러나왔고, 스카우트팀장 임명으로 현실이 됐다. 언론을 통해 전 단장의 스카우트팀장 복귀 소식이 알려지면서 팬들의 여론은 다소 부정적이다. 팀을 떠날 당시의 잡음들이 아직 완전히 잊혀지지도 않았는데, 같은 구단에 팀장급으로 복귀해야만 하는 결정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다.
논란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음주 운전 이력으로 취임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자진 사퇴했던 박정태 전 퓨처스 감독이 육성 고문을 맡고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SSG는 지난해 12월 31일 박정태 퓨처스 감독 선임 사실을 발표했다가, 음주 운전 이력과 추신수 구단주보좌역과의 혈연 관계 등이 도마 위에 오르면서 뭇매를 맞고 올해 1월 24일 자진 사퇴를 발표한 바 있다.
자

진 사퇴 발표 당시 박 감독은 “선임 이후 팬분들과 야구 관계자들의 우려의 목소리를 들었다. 현장으로 복귀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했고, 이와 관련된 문제로 팬과 구단에 심려를 끼쳐드리고 싶지 않다. 향후 낮은 자세로 KBO리그 발전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을 고민해 보겠다“고 뜻을 밝힌 바 있다.
그런데 몇달 전부터 퓨처스리그 현장에서 박정태 감독이 SSG 유니폼을 입고 자주 모습을 비춘다는 소문이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자진 사퇴를 했지만 팀을 떠나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야구계에서 파다하게 흘렀다.
확인 결과, SSG는 박정태 전 감독과 육성 고문으로 새로운 계약을 체결했다. 현장과는 별개로, 선수 육성에 대한 조언과 아마추어 선수 스카우팅 등에 대해 조언을 해주는 역할을 맡겼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역시 이해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다. 여론의 폭풍을 맞고 자진 사퇴를 발표한 것이 불과 몇달 전인데, 굳이 논란이 있었던 사람을 사퇴 후 한두달도 지나지 않아 다시 구단 내에서 역할을 맡긴다는 자체가 설득되기 쉽지 않다.
SSG는 계속해서 소통 없는 불통으로 이해 불가 인사가 반복된다. 인사를 영입하고 결정하는 것은 전적으로 구단의 선택이며, 결과 역시 추후 구단이 책임지면 되는 것 아니냐라고 볼 수 있지만, 이는 프로 야구단이 가져야 할 자세와는 멀다. 심지어 수개월 전부터 구단 내부에서도 이와 관련해 우려하는 목소리들이 있었지만, 결국 인사는 강행됐다.
스카우트팀장으로 복귀한 김성용 전 단장과 박정태 고문은 분명 전문 분야에서 경험과 경력이 풍부한, 장점이 있는 베테랑 야구인들이다. 그러나 실책은 분명 있다. 구단 역시 납득하기 힘든 선택을 하면서 먼저 명확하게 설명하는 게 아니라, 쉬쉬 하면서 감추기에만 급급하다. 결국은 외부에 알려지면서 더 거센 후폭풍을 맞이할 것은 불보듯 뻔한데 말이다.
SSG의 인사 논란은 처음이 아니다. 구단명이 바뀐 이후 계속해서 반복되고 있다. 김성용 전 단장의 취임 당시부터 논란이 시작됐고, 박정태 2군 감독 선임과 이들의 복귀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굳이, 꼭, 한번 문제가 있었던 인연들을 굳이, 꼭, 지금 시점에 다시 불렀어야 하는가 하는 물음표가 사라지지 않는다. 팬들은 이미 반복되는 비슷한 논란으로 인해 구단 행정에 염증을 느끼고 있다. 불필요한 논란을 자초하는 SSG 랜더스다.
나유리 기자
[email protected]